남도(호남) 음식점 - DJ대통령 단골 ‘신안촌’ 이금심 대표. ‘엄마집 신안촌’을 운영. 호남의 해산물을 직송, 호남음식 1986년에 문을 연 ‘신안촌’은 업력이 30년. - 서울 광화문 세종문화회관 뒤편 '딸네 신안촌'의 밥상 차림. 엄마집과는 얼마쯤 다르다. 서울의 호남음식 맛집 토담 (교대역 4번출구) : 02-5.. 음식정보 2017.04.06
오미자(윤덕노의 음식이야기) 오미자(五味子)는 열매에서 다섯 가지 맛이 난다고 해서 생긴 이름이다. 조선 숙종 때의 실학자 홍만선이 쓴 '산림경제(山林經濟)'에서 열매와 껍질은 달면서 시고, 씨앗은 맵고도 쓴데 모두 합치면 짠맛이 나기 때문에 오미자라고 했다. 열매 하나에서 여러 맛이 나는 만큼 약효도 다양할 것이라고 여.. 음식정보 2011.10.05
국화(윤덕노의 음식 이야기) 가을 음식 중에 국화를 소재로 만든 음식이 꽤 있다. 국화차나 국화주 모두 가을에 마셔야 제 정취를 느낄 수 있다. 지금은 찾아보기 힘들지만 국화꽃으로 만드는 국화전도 요즘이 제철이다. 국화전은 찹쌀가루를 반죽해 동그랗게 빚은 후 그 위에다 국화 꽃잎을 붙여서 만든다. 조선후기의 실학자 이.. 음식정보 2011.10.05
지역을 대표하는 별미 30가지 강릉시 성산면은 대구머리찜 골목이 형성되어 있을 정도로 유명하다. 대구는 주문진항구에서 주로 많이 잡히며 겨울에 가장 맛이 좋다. 지방 양이 적어 맛이 담백하고, 비타민 A와 D가 풍부하여 통풍 치료 및 만성 류머티즘에 효과적이다. 또한 타우린이 풍부하여 간 기능 강화, 피로 회복, 시력 증강에.. 음식정보 2010.03.18
평창 현대막국수, 운두령 송어 횟집 평창 가는 길·묵을 곳·먹을거리 박경일기자 parking@munhwa.com <SCRIPT src="http://www.munhwa.com/include/munhwa_view_setting.js"></SCRIPT> ◆ 평창가는 길 = 경부고속도로 판교분기점에서 영동고속도로로 바로 타고 가거나, 중부고속도로에서 광주 곤지암을 경유한 후, 호법분기점에서 영동 고속도로로 접어들.. 음식정보 2008.08.28
담양 덕인관 떡갈비, 창평장터 돼지국밥 칼로만 다진 떡갈비·창평장터 주변의 돼지국밥 ‘일미’ <SCRIPT src="http://www.munhwa.com/include/munhwa_view_setting.js"></SCRIPT> # 담양 가는 길 = 호남고속도로 백양사 나들목으로 나와 장성호반을 따라 백양사 입구를 지난다. 여기서 월산면 바심재를 넘으면 바로 담양읍내다. 서해안고속도로를 타면 고.. 음식정보 2008.08.27
남원 에덴식당 산나물백반 늘 ‘그 나물에 그 밥’, 18년 ‘최씨 고집’ [우리땅 이맛] 남원 에덴식당 산나물백반 지리산이 기른 8가지만…10번 이상 손 가야 천천히 씹어서 혀로 굴리면 ‘알싸 쌉쌀 텁텁’ 이병학 기자 &#187; 에덴식당 산나물백반 상차림. “처음 오는 손님들 중 절반은 이렇게 물어요. 이거 혹시 중국산 나물 .. 음식정보 2008.07.10
정선 메밀국수 "청원식당" ▲ 콧등치기 국수. 메밀로 만든 국수로 찬물에 말았다. 국수발이 콧등을 친다 하여 콧등치기다. ⓒ 강기희 "밤중을 지난 무렵인지 죽은 듯이 고요한 속에서 짐승같은 달의 숨소리가 손에 잡힐 듯이 들리며, 콩포기와 옥수수 잎새가 한층 달에 푸르게 젖었다. 산허리는 온통 메밀밭이어서 피기 시작한 .. 음식정보 2008.04.04
가장 과학적인 발효식품 김치 본격적인 김장철입니다. 요즘은 김장을 하지 않는 집도 많아졌습니다만 김장 김치가 가장 주요한 겨울철 양식이었던 시절도 그리 먼 옛날은 아닙니다. 김치는 대표적인 발효 음식 중 하나지요. 사람의 미각은 크게 단맛 쓴맛 신맛 짠맛의 4가지 맛을 기본 축으로 이뤄지는데 발효미는 보통 '제5의 맛'.. 음식정보 2007.11.27