通氣法(원기단법)은
내가신장 등 본 공부를 보다 효율적으로 할 수 있는 준비운동이다.
그러나 일반 단학이나 선도에서의 본공부보다 강한 공부 수준이다.
선단학 기천문의 비전의 통기법이다.
준비 운동 (좌우 각 10회) 부문
준비운동은 通氣法이다.
1. 지전법(선단학 황금구법 중 제 1법)
각 우회전 10회, 좌회전 10회를 표준으로 한다.
1). 목돌리기
목에 많은 신경이 지나가므로 제일 중요.
천천히 즐겁게 세상만사를 다 잊고, 편안하게 지구가 돌듯.
준비운동은 通氣法이다.
1. 지전법(선단학 황금구법 중 제 1법)
각 우회전 10회, 좌회전 10회를 표준으로 한다.
1). 목돌리기
목에 많은 신경이 지나가므로 제일 중요.
천천히 즐겁게 세상만사를 다 잊고, 편안하게 지구가 돌듯.
2). 손목 돌리기
팔을 위로 45도 정도 비스듬이 뻗어 올리고.
가끔 손바닥만 반짝이는 것처럼 하는 사람이 있는데,
손목이 상하로 돌아야 한다.
3). 팔 돌리기
손바닥이 머리 위에서 (손뼉치며) 붙어 지나가도록 한다.
4). 발목 돌리기 (한 쪽 발을 높이 들고, 양손으로 정강이 잡음)
#노인들을 위한 건강 장수법 中 하나.
노화는 엄지발가락, 발목, 무릎, 골반, 허리, 어깨, 목, 머리의 순서로 온다.
노화 정도를 측정할 수 있다.
가장 중요한 비전의 공부이다.
가장 중요한 비전의 공부이다.
5). 무릎 돌리기
낮게 앉고, 명문혈쪽 허리가 들어가도록 주의
6). 허리 돌리기
지구가 태양을 돌듯, 똑같은 속도로 끊이지 않게 천천히 돌린다.
2. 전래체술(황금구법 중 2법)
1). 몸돌리기 (중요함으로 20회 이상)-전래체술 1법
#만병통치 건강 장수법.
소설 [단]에서 말하는 전래체술 중에서 중요한 동작.
허리, 목디스크에 좋다. 이보다 좋은 기공 수련법은 없다고 해 도 과언이 아니다.
팔을 늘어뜨려 주먹을 쥐고, 반대편 옆구리까지 돌려 옆구리 를 누르며,
몸을 꼰다. 그리고 반대로 하기를 반복한다.
2). 허리 틀어 차기
발을 어깨 넓이 정도로 벌리고 서서 꽉 딛는다.
팔과 발을 서로 반대로 한다. 얼굴은 팔이 가는 방향으로 하여, 눈은 손끝을 본다.
1법- 다리를 쭉 뻗어 차기
(황금구법의 전래체술 2법으로 한다.)
2법- 무릅으로 차기
3). 기타 육합 몸풀기 등
마법, 범도, 대도, 소도, 금계, 허공 등의 하체 자세를 변화하며, 다양하고 재미있게 있음.
- 마법으로 풍차돌리기, 발차기 , 역마법, 주저앉기 등
- 대도 역권세로 허리 틀기,
- 대도세로 팔을 크게 머리위로 올리며 노젓기
(황금구법의 전래체술 3법으로 한다.)
- 소도세로 허리 운동 (상체를 앞뒤로 젖히기),
- 소도세로 기공옮기기
- 구분 범도추, 금계 뛰기, 무릅돌리기 등
- 허공 좌우숙이기 등
- 기지개펴며 허리를 좌우상하, 틀기(좌우)로 숙이기
2). 허리 틀어 차기
발을 어깨 넓이 정도로 벌리고 서서 꽉 딛는다.
팔과 발을 서로 반대로 한다. 얼굴은 팔이 가는 방향으로 하여, 눈은 손끝을 본다.
1법- 다리를 쭉 뻗어 차기
(황금구법의 전래체술 2법으로 한다.)
2법- 무릅으로 차기
3). 기타 육합 몸풀기 등
마법, 범도, 대도, 소도, 금계, 허공 등의 하체 자세를 변화하며, 다양하고 재미있게 있음.
- 마법으로 풍차돌리기, 발차기 , 역마법, 주저앉기 등
- 대도 역권세로 허리 틀기,
- 대도세로 팔을 크게 머리위로 올리며 노젓기
(황금구법의 전래체술 3법으로 한다.)
- 소도세로 허리 운동 (상체를 앞뒤로 젖히기),
- 소도세로 기공옮기기
- 구분 범도추, 금계 뛰기, 무릅돌리기 등
- 허공 좌우숙이기 등
- 기지개펴며 허리를 좌우상하, 틀기(좌우)로 숙이기
(황금구법의 전래체술 4법으로 한다.)
- 범도세 반탄범도추(택견 품밟기와 비슷)
(황금구법의 전래체술 5법으로 한다.)
- 양절권(황금구법의 전래체술 6법):
- 범도세 반탄범도추(택견 품밟기와 비슷)
(황금구법의 전래체술 5법으로 한다.)
- 양절권(황금구법의 전래체술 6법):
무릎과 팔꿈치로 동시에 찬다. 실전에서도 사용하기 좋다.
3. 반탄신공(황금 구법 중 3법)
기본 1단계는 손을 허리 뒤에 대고 한다.(반탄신공 중 1법)
아래배를 앞으로 튀길 때는 발뒤꿈치를 들고
엉덩이를 뒤로 튀길 때는 발가락을 든다.
물고기가 땅에서 파닥 파닥 튀듯, 턱걸이 할때 배치기 하듯.
반탄신공 중 2법(활개짓) ,3법(안활개짓),
4법(개운기공),5법(어장법).
#기천에서 중요한 기본 체조. 기천은 반탄과 역근이 특징임.
무릎을 구부리지 않도록 주의.
아랫배를 물고기가 튀듯 탄력있게 앞뒤로.
4. 보조신공 (황금 구법 중 4법)
#비전의 공력단련법
팔 벌리고(허수아비 같이) 발꿈치 들고 양발 번갈아 뛰기
적으면 33회 혹은 50회, 보통 100회
많으면 200회 이상, 1000번 이상 등
무릎을 구부리지말고 크게 뛴다.
손바닥을 쫙 펴서, 날이 퍼릇 퍼릇하게 서는 칼날같이 손을 만 든다.
팔을 쇠몽둥이로 만든다.
마치 화살촉이나 창끝 같이 손바닥에 기를 넣는다.
칠보절권 중 비연수에서 특히 중요.
초보 1단계(보조신공1법, 일명 보조보)는 천천히 몸을 똑바로 세우고 걷는다.
마치 화살촉이나 창끝 같이 손바닥에 기를 넣는다.
칠보절권 중 비연수에서 특히 중요.
초보 1단계(보조신공1법, 일명 보조보)는 천천히 몸을 똑바로 세우고 걷는다.
가끔 몸을 시계방향 혹은 역방향으로 회전시키 며 걷기도 하고,
팔이 아프면 머리 위로 손바닥을 합쳤다가 내 리기도 한다.
5. 비조신공
팔 벌리고 발을 모아 발꿈치를 든후, 손목을 날개같이 파닥이며 뒤로 5번 뛰고,
5. 비조신공
팔 벌리고 발을 모아 발꿈치를 든후, 손목을 날개같이 파닥이며 뒤로 5번 뛰고,
앞으로 5번 뛰는 것 을 1회로, 적으면 5회, 보통 10회, 많으면 20회 이상
무릎을 구부리지 말고 크게 뛴다.
탄력있게 한다.
100번을 가볍게 뛰도록 공력 단련 한다.
나중에 어룡장 등에 특히 유효하다.
기본 1단계(비조신공 1법)는 제자리에서 발뒤꿈치를 올리고
무릎을 구부리지 말고 크게 뛴다.
탄력있게 한다.
100번을 가볍게 뛰도록 공력 단련 한다.
나중에 어룡장 등에 특히 유효하다.
기본 1단계(비조신공 1법)는 제자리에서 발뒤꿈치를 올리고
뛰지 않고 춤을 추듯 출렁인다. 50회 정도.
6. 대연법
원기단법으로 해야 한다.
- 앉아서 발 안쪽 가볍게 부딪치기(팔선법)-1법
(남성, 여성의 성기능을 강화시킨다.)
- 앉아서 다리 벌려 허리 숙이기(정,좌,우) (발 세움)-2법
혹은 앉아서 다리 벌려 허리 숙이기 (발 핌)
- 앉아서 발바닥 붙여 허리 숙이기-3법
- 통나무세- 4법
(누워서 기지개 피면서 주먹쥐면서 하품하고,
발뒤꿈치와 목으로 단전을 튕겨 올려 버틴다.
산중수련에서 1미터 높이 허공에서, 두 통나무로 발목과 목에 대고
- 앉아서 발 안쪽 가볍게 부딪치기(팔선법)-1법
(남성, 여성의 성기능을 강화시킨다.)
- 앉아서 다리 벌려 허리 숙이기(정,좌,우) (발 세움)-2법
혹은 앉아서 다리 벌려 허리 숙이기 (발 핌)
- 앉아서 발바닥 붙여 허리 숙이기-3법
- 통나무세- 4법
(누워서 기지개 피면서 주먹쥐면서 하품하고,
발뒤꿈치와 목으로 단전을 튕겨 올려 버틴다.
산중수련에서 1미터 높이 허공에서, 두 통나무로 발목과 목에 대고
배힘을 기른다 해서 통나무세라 함.)
- 누워 구름다리세- 5법
(발바닥 손바닥으로 아랫배 들어올리기)
- 언덕세- 6법
- 다리?기-7법 (정면, 좌, 우)
- 절벽세-8법 ( 엎드리되 상체를 절벽같이 세운다.“ㄴ”자형)
(엎드렸다가 배꼽위 상체를 두팔을 직각으로 해서)
- 엎드려 활궁세-9법
(엎드려 발목잡아 무릎 올리고, 가슴 뒤로 젖히기)
- 산봉우리세 (일명 엎드려 내가신장 자세)-10법
- 계곡세 -11법
(발안쪽을 대고 무릎 꿇고 엎드리기 하다가
상체를 세워 직각으로 만들고 앉기)
- 바위세-12법 ( 무릎꿇고 상체를 뒤로 젖혀 두손으로 발뒤 꿈치 잡기,
- 누워 구름다리세- 5법
(발바닥 손바닥으로 아랫배 들어올리기)
- 언덕세- 6법
- 다리?기-7법 (정면, 좌, 우)
- 절벽세-8법 ( 엎드리되 상체를 절벽같이 세운다.“ㄴ”자형)
(엎드렸다가 배꼽위 상체를 두팔을 직각으로 해서)
- 엎드려 활궁세-9법
(엎드려 발목잡아 무릎 올리고, 가슴 뒤로 젖히기)
- 산봉우리세 (일명 엎드려 내가신장 자세)-10법
- 계곡세 -11법
(발안쪽을 대고 무릎 꿇고 엎드리기 하다가
상체를 세워 직각으로 만들고 앉기)
- 바위세-12법 ( 무릎꿇고 상체를 뒤로 젖혀 두손으로 발뒤 꿈치 잡기,
아랫배를 가능한 앞으로 나가게 )
야외에서 할때
야외에서 할때
- 서서 발을 붙이고 손은 가슴, 배, 허리, 엉덩이, 발 뒷면을 차례로 쓰다듬으며
상체를 숙여 발에 붙이며, 발등위에 손 을 얹고 세번 숨을 쉰다. 3회 정도 한다.
- 다음에는 발을 벌려서 위와 같이 한다.
- 발을 벌려서 무릎을 잡고, 좌우로 앉으며 상체를 번갈아 좌우 발위에 숙인다.
- 다음에는 발을 벌려서 위와 같이 한다.
- 발을 벌려서 무릎을 잡고, 좌우로 앉으며 상체를 번갈아 좌우 발위에 숙인다.
(허공세) 각 3회 정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