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요 특징
옻나무로부터 채취되는 생옻은 회백색의 유상액이며 단맛이 나고 공기에 닿으면 갈색으로 변하면서 점차 짙어져 수시간이 지나면 경화되는데 이것을 보통 '건조'라고 한다. 생옻의 주성분은 옻산( Urushiol) 이며 그 외에 고무질, 함질소물 및 수분을 함유하고 있다.
옻산 (漆酸) 옻산은 옻액의 주요 성분이기 때문에 옻 도막을 형성하는 주성분이 된다. 이에 대한 성분을 화학적 기호로 설명하면 그림과 같다. 일반적으로 옻의 성분은 일정하나 R의 성분인 C15H26 -31에서 H의 숫자가 26에 가까울수록 양질의 옻이 된다.
고무질 고무질은 옻을 도장할 때 탄력을 유지하는 주요 기능을 가지고 있고 옻이 고르게 퍼져 옻 도막면을 수평되게 조성하는 성분이다. 따라서 옻의 경우 수분이 전혀 없을 때는 건조시간이 늦어지고 도막면의 기능이 손실된다. 또한 고무질 속에 있는 산화 효소는 공기 중의 산소와 반응을 일으켜 옻산의 결합을 유도해 내는 주요 성분이다.
함질소물 (含窒素物) 옻의 성분 가운데는 알코올이나 수분에 녹지 않는 갈색 분말이 소량 존재하고 있다. 이 분말은 질소를 함유하는 여러 종류의 화합물이므로 이를 '함질소물질' 이라고 칭한다. 함질 소물질은 옻 가운데 미세하게 구성되어 있으며 단맛의 주성분이 된다. 이 물질은 옻의 구성 요소 중 소량에 불가하나 그 기능은 매우 중요한 것이다.
[민간요법]
◆ 옻이 오른데는 밤나무 잎이 가장 탁월한 효과를 냅니다.밤나무 잎을 끓인 물로 목욕을 하면 좋은 효과를 봅니다. 밤나무 잎을 자루에 담아 열탕에 오래 담가두어 우러나면 그 물에 목욕을 해도 좋습니다. 더 간단하게 조치하는 방법은 생 잎을 그대로 짓찧어 그 즙을 발라도 낫습니다. ◆평소에 옻이 잘 오르는 체질을 지니고 있는 사람도 밤나무 잎을 달인 물을 꾸준히 복용하면 옻이 올라 고생하는 일로부터 벗어나게 됩니다. ◆ 또 한가지 옻이 올랐을 때 예로부터 자주 애용하던 효과적인 방법으로, 닭을 잡아서 고기는 먹고 그 물로 환부를 씻으면 잘 낫습니다. 만일 닭이 없는 경우에는 계란을 삶아 먹으면서 날 계란을 염증이 생긴 곳에 발라도 효과가 있지요. ◆ 부추를 짓찧어 즙을 환부에 바르거나 백반 끓인 물로 환부를 씻어주어도 효과가 있습니다. |
활용 방안
◆옻은 뱃속의 적병에 효과가 탁월하다. 적병이란 뱃속에 딱딱한 덩어리가 뭉쳐 있는 것을 말하는데 이는 암이 되기 전 단계에 있는 어혈이나 염증이 뭉친 것이다. 적병에는 마른 옻 껍질 5근, 맥아 볶은 것, 신곡 볶은 것 각 3근, 공사인 볶은 것, 백출, 금은화, 산사육, 인삼 각 2근, 계내금 볶은 것 1근, 원감초, 건강 각 반 근, 경포부자 5냥과 함께 누런 토종개 한 마리와 한데 넣고 오래 달인 뒤에 엿기름을 넣고 조청을 만들어 두고 작은 숟가락으로 하나씩 먹는다. 이 약조청은 갖가지 속의 냉증이나 체한데 등에도 효과가 크다. 위의 여러 가지 약재들을 구하기 어려우면 옻과 개만으로도 훌륭한 약을 만들 수 있다. 옻 1근을 내장을 발라 낸 누렁개 한 마리와 함께 오래 달인 다음 거기에 엿기름을 넣어 조청을 만들어 두고 수시로 찻숟갈로 하나씩 먹는다. 소화불량, 위염, 위궤양, 초기 위암, 냉증 등에 효과가 탁월하다. 옻의 독성을 개고기가 중화하므로 옻을 타는 사람이 먹어도 옻이 오르지 않는다.
◆늑막염이나 골수염, 관절염 치료에도 옻을 쓴다. 털과 똥을 빼낸 오리 한 마리를 삶아서 식힌 후 기름을 걷어 내고 금은화 1근 반, 마른 옻 껍질 1근, 지네 300 마리를 넣고 오래 달여서 찌꺼기는 짜서 버리고 약물이 1되쯤 되게 졸여서 조금씩 자주 먹는다. 5마리 이상 먹어야 완치가 가능하다.
◆만성 위염, 위궤양, 뱃속의 덩어리가 생긴 데 등에는 닭 한 마리의 내장을 꺼낸 다음 그 속에 옻나무 껍질을 가득 채워 넣고 삶아서 그 물과 고기를 먹는다. 한 마리를 이틀 동안 먹는다. 한번 먹어서 효과가 없으면 서너 번 더 해서 먹는다. 혈액형이 O형인 소양체질의 사람은 옻이 심하게 오를 수도 있으므로 주의한다. ?꼭? 심하게 오르면 띠 뿌리 달인 물을 마시고 또 그 물로 씻는다.
◆담낭결석이나 신장, 방광결석에는 앞의 방법대로 옻닭을 만들어 먹거나 날달걀에 구멍을 조금 내어 생옻을 조금 넣어 마신다. 하루 3~5번씩 먹는다. 또는 달걀 10개를 까서 그릇에 담은 다음 거기에 옻진을 약간 넣고 끓여서 그것을 하루 동안에 다 먹는다. 극심한 통증이 멎고 결석도 차츰 녹아 없어진다.
◆늑막염, 간경화증으로 인해 복수가 찰 때 등에도 옻닭을 만들어 먹는다. 대개 서너 마리 만들어 먹으면 낫는다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