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산사자 |
주요사항 |
 |
산사나무는 우리나라 중부지방의 산야지나 북부지방의 산지에 자라는 장미과의 낙엽 교목이다. 아 나무의 열매를 말린 것을 산사자라고 한다.. 산사육, 찔광이, 아가위, 애광나무, 동배나무 등으로 불리운다. 봄에 흰 꽃이 피고 가을에 열매가 열리는데, 열매는 차를 끓이거나 한약재로 사용한다. |
한방에서는 건위 소화(消化)의 처방에 없어서는 안되는 생약으로 소화불량, 식욕부진, 위산결핍증 또는 위산과다증에 쓰고 설사, 이질, 생리통, 동상, 건위, 요통, 장출혈, 산후 오로증 등에도 쓴다.
민간에서는 육류를 요리할 때 산사 몇 알을 넣으면 고기가 부드럽고 연해지며, 과즙은 숙취를 풀어주므로 주객들이 즐겨 마신다.
젖먹이가 젖에 체했을 때 즙을 내어 먹거나 달여서 먹이고 음식을 과도하게 먹고 신물이 올라올 때 달여서 마시면 신기할 정도로 잘 듣는다.
심장의 혈액순환을 좋게 하고 강심작용을 나타내며 가슴 두근거림과 부정맥을 없앤다.
음식을 소화시키고 기혈을 잘 통하게 한다. 비를 건전하게 하고 입맛을 돋구어준다. |
심마니휴게소 |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