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식용법으로 봄에 어린 잎과 꽃잎을 따다가 나물로 해먹는데 어릴 때는 쓴맛이 별로 없으므로 가볍게 데쳐서 찬물에 헹구기만 하면 된다. ▶莖(경) 및 葉(엽)은▶잎이 3개씩 2회 갈라지므로 삼지구엽초 라고 한다. ▶약용으로 중요한 식물로 재배작물로 개발 가능성이 높다. ▶식물을 경제작물로 이용할 수 있는 방안을 적극적으로 모색하여 다양한 상품화 및 개발 가능성이 있는 식물이다. 이 식물은 물에 넣어 끓이면 잎과 줄기가 빳빳해지는 특성이 있다.
根莖(근경)은 淫羊藿根(음양곽근)이라 하며 약용한다. ⑴淫羊藿(음양곽) ①여름-가을에 채취하여 햇볕 또는 그늘에서 말린다. ②성분 : 莖(경)과 葉(엽)에는 icariin을 함유하고 잎에는 더욱 精油(정유), ceryl alcohol, hentriacontane, phytosterol, tannin, 油脂(유지)가 함유되어 있으며
지방유 중의 지방산은 palmitic acid, stearic acid, oleic acid, linoleic acid이다. ③약효 : 補腎(보신), 强陽(강양), 祛風(거풍), 除濕(제습)의 효능이 있다. 불임, 음위, 발기불능,
倦怠無力(권태무력), 小便淋瀝(소변임력), 筋骨攣急(근골련급), 반신불수, 腰膝無力(요슬무력), 류머티즘에 의한 마비와 통증, 四肢不仁(사지불인)을 치료한다. ④용법/용량 : 3-15g을 달여 복용한다. 술에 담그거나 膏劑(고제), 丸劑(환제), 散劑(산제) 등으로 만들어 복용한다. <외용> 煎液(전액)으로 씻는다.
⑵淫羊藿根(음양곽근) ①성분 : 음양곽의 근경에는 des-o-methylicariin이 함유되어 있다. ②약효 : 虛淋(허림), 白濁(백탁), 白帶(백대), 월경불순, 소아야맹증, 膿(농)이 안터진 癰疽(옹저), 천식발작을 치료한다. ③용법/용량 : 15-30g을 달여 복용하거나 散劑(산제)로 하여 복용한다.
|